
포켓 페어는 텍사스 홀덤에서 가장 안정적인 출발점 중 하나지만, 모든 페어가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 글에서는 프리미엄부터 스몰 페어까지, 각 범주의 포켓 페어를 어떻게 상황에 맞게 플레이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포켓 페어가 강력한 이유
포켓 페어는 플랍 전에 이미 메이드 핸드로 시작할 수 있는 유일한 유형입니다.
오버페어나 셋, 풀하우스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대부분의 핸드에 비해 에퀴티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라이브 캐시 게임에서는 상대가 탑페어로 칩을 과하게 넣는 경우가 많아, 포켓 페어는 잘만 활용하면 매우 높은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강력한 핸드도 무분별하거나 과신할 경우, 오히려 손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포켓 페어가 같은 가치는 아니다

많은 초보자들이 AA와 44를 같은 ‘페어’로 다루는 실수를 저지릅니다.
그러나 실전에서는 핸드 가치와 작동 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
따라서 포켓 페어는 다음과 같이 범주별로 분류하고 그에 맞게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프리미엄 포켓 페어: AA, KK, QQ, JJ
- 미들 포켓 페어: TT ~ 66
- 스몰 포켓 페어: 55 ~ 22
프리미엄 포켓 페어를 활용한 수익 극대화
프리미엄 페어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가장 높은 EV를 가지는 핸드입니다.
하지만 항상 똑같이 공격적으로만 플레이할 게 아니라, 포지션, 상대 성향, 보드 텍스처에 따라 밸류 추출 방식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본 전략 요약
상황 | 추천 액션 |
---|---|
프리플랍 | 대부분의 경우 3bet 또는 4bet |
헤즈업 플랍 | 높은 빈도로 컨티뉴에이션 베팅 |
멀티웨이 팟 | QQ 이하일 경우 팟 컨트롤 고려 |
딥스택 상황 | 트랩 혹은 체크 콜 라인도 병행 가능 |
특히 QQ와 JJ는 AK나 AQ와 자주 충돌하며, 에퀴티 우위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팟 빌딩보다는 중간 베팅과 컨트롤 중심 플레이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실전 팁
딥스택 게임에서 AA, KK는 언제나 ‘마구 올인’할 핸드가 아닙니다.
특히 789, T98 같은 커넥티드 보드에서는 오히려 조심해야 하며, 상대의 레인지 구성을 정확히 판단한 뒤 플레이해야 합니다.
미들 포켓 페어를 활용한 수익 극대화
미들 페어는 좋아 보이지만 매우 불안정한 핸드입니다.
탑페어에 비해 약하고, 오버카드가 보드에 깔릴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포지션과 스택 크기, 상대 성향에 따라 매우 유연하게 플레이해야 합니다.
실전 전략 요약
- 프리플랍에서 3bet 콜이 가능한 포지션에서는 오픈 가능
- 딥스택 상황에서는 셋 마이닝과 벨류 타겟이 명확한 경우에만 플랍 이후 적극성 유지
- 리버에서 히어로 콜보다 플랍-턴 컨트롤로 진행하는 편이 안전함
토너먼트 응용 전략
- 25BB 이하에서는 버튼이나 컷오프 오픈에 스틸 올인으로 활용
- 상대가 폴드하면 즉시 칩 확보, 콜을 당해도 AK, AQ와 비슷한 에퀴티로 진행 가능
- 깊은 스택이 아니기 때문에 하이 포켓 페어를 만날 위험이 줄어듦
스몰 포켓 페어를 활용한 수익 극대화
스몰 페어는 셋 마이닝 또는 블라인드 스틸용으로만 활용되어야 하며,
자체적인 페어 가치로 강한 핸드처럼 플레이하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전 전략 요약
- 오직 셋을 노릴 수 있을 때만 플레이 (딥스택 + 플랫콜 구조)
- 프리플랍 3bet 상황에서는 대부분 폴드
- 셋을 맞추지 못했을 경우 c-bet 대응 후 바로 컨트롤 필요
토너먼트 전략
- 20BB 이하 상황에서 SB나 BTN에서 스틸 올인 핸드로 적절
- 콜을 당해도 오버카드 2장에 대해 코인플립 → 리스크 대비 수익 우위
- 셋 마이닝보다는 “오픈폴드 or 올인” 전략이 현실적
포켓 페어 수학적 이해
상황 | 확률 |
---|---|
포켓 페어 받을 확률 | 5.9% |
플랍에서 셋 만들 확률 | 10.7% |
리버까지 셋 만들 확률 | 18.4% |
플랍에서 풀하우스 | 0.9% |
플랍에서 포카드 | 0.2% |
스몰 페어를 무조건적으로 셋 마이닝 용도로 쓰는 전략은 이 확률 구조를 이해하지 않으면 오히려 장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플랍 미스 시 포기할 수 있는 기계적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상대에 따라 전략을 조정하라
포켓 페어의 수익성은 상대의 스타일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 타이트한 테이블: 프리미엄 페어로 벨류 추출이 어렵기 때문에 트랩도 병행
- 루즈한 테이블: 셋 마이닝보다 탑페어 벨류 중심 플레이가 유리
- 3bet이 자주 나오는 환경: 스몰 페어의 가치는 크게 감소
GTO를 무작정 따르기보다, 상대의 실수를 익스플로잇하는 방향이
장기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훨씬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포켓 페어는 단순한 듯하지만 실전에서 가장 많은 미세 조정을 요구하는 핸드입니다.
핸드 유형별로 접근 방식을 명확히 하고,
보드와 상대, 포지션, 스택 구조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플레이를 펼친다면,
어떤 페어로도 실전에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입니다.